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|||||
3 | 4 | 5 | 6 | 7 | 8 | 9 |
10 | 11 | 12 | 13 | 14 | 15 | 16 |
17 | 18 | 19 | 20 | 21 | 22 | 23 |
24 | 25 | 26 | 27 | 28 | 29 | 30 |
31 |
- 코틀린 클래스
- oauth2
- sap ERP
- kotlin 클래스
- SQL프로그래머스
- SQL 문제풀이
- js
- 프로그래머스
- python
- java8
- SAP ABAP
- oracle
- 구글로그인
- 오라클
- 스프링부트 채팅서버
- LeetCode SQL
- spring boot
- mysql
- Spring
- 스프링시큐리티
- 스프링부트
- 스프링
- springboot
- SQL
- Leetcode
- 자바스크립트
- 자바 스트림
- javascript
- MSA
- pygame
- Today
- Total
목록전체 글 (98)
웅겹살의 프로그래밍 삼매경

Framework(프레임워크) 프레임워크는 뼈대나 기반구조를 뜻하고, 제어의 역전 개념이 적용된 대표적인 기술이다. 소프트웨어에서의 프레임워크는 '소프트웨어의 특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상호 협력하는 클래스와 인터페이스의 집합' 이라 할 수 있으며, 완성된 어플리케이션이 아닌 프로그래머가 완성시키는 작업을 해야한다. 객체 지향 개발을 하게 되면서 통합성, 일관성의 부족이 발생되는 문제를 해결할 방법중 하나라고 할 수 있다. 프레임워크의 특징 특정 개념들의 추상화를 제공하는 여러 클래스나 컴포넌트로 구성되어 있다 추상적인 개념들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같이 작업하는 방법을 정의 컴포넌트들은 재사용이 가능 높은 수준에서 패턴들을 조작화 할 수 있다 라이브러리(Library) 라이브러리는 단순 활용가능한 도..

HTTP 상태코드를 아주 보기쉽게 정리해둔 글 첨부 https://www.yohannberger.com/http-status-code/ HTTP Status Code Cheat Sheet - Yohann Berger Sometimes things don’t go well and you end up with a white page with and a HTTP error code. It can be on any website… www.yohannberger.com

웹 스토리지 객체(web storage object)인 localStorage와 sessionStorage는 브라우저 내에 키-값 쌍을 저장할 수 있게 해준다. 이 둘을 사용하면 페이지를 새로 고침하고(sessionStorage의 경우) 심지어 브라우저를 다시 실행해도(localStorage의 경우) 데이터가 사라지지 않고 남아있다. 쿠키와 다르게 웹 스토리지 객체는 네트워크 요청 시 서버로 전송되지 않는다. 이런 특징 때문에 쿠키보다 더 많은 자료를 보관할 수 있다. 대부분의 브라우저가 최소 2MB 혹은 그 이상의 웹 스토리지 객체를 저장할 수 있도록 해준다. 또한 개발자는 브라우저 내 웹 스토리지 구성 방식을 설정할 수 있다. 쿠키와 또 다른 점은 서버가 HTTP 헤더를 통해 스토리지 객체를 조작할 ..

postgreSQL DB | 데이터베이스 확인 select * from pg_catalog.pg_namespace; postgreSQL schema | 스키마 확인 select * from pg_catalog.pg_tables; postgreSQL DB, schema | 특정 스키마, 데이터베이스 조회 SELECT * FROM pg_catalog.pg_tables WHERE schemaname = 'public' AND tablename LIKE 'Weath%'; postgreSQL diagram Visualization | 우클릭으로 Diagram Visualization 확인 (DATAGRIP) postgreSQL table | 테이블명 변경 alter table "1.book2" rename ..

리스트(List)란 저장된 요소들의 순서가 있고 데이터에 중복이 가능하고 인덱스(index) 번호에 의해서 정렬 (배열과 비슷한 동작) 리스트(List)의 특징 리스트(List)는 컬렉션(Collection) 인터페이스 중 하나이다. 리스트(List)는 두 개의 종류로 나눠진다. ArrayList -> 배열로 이루어진 리스트(List) LinkedList 리스트(List)는 크기 조절이 가능하다. 리스트(List)는 초기 크기를 지정하지 않아도 된다. 리스트(List)에 삭제는 공간을 지우는 것이다. 리스트(List) 사용 방법 List 리스트 명 = new ArrayList(or LinkedList)(); import java.util.ArrayList; // ArratList 선언 시 import j..